HOT아시아
세계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하고 흥미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중국 자본이 잠식한 캄보디아의 민낯: '범죄 왕국'으로의 전락 2025년 10월 16일 21:40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굿모닝아시아
댓글 0건 조회 164회 작성일 25-10-16 21:40

본문

중국 자본이 잠식한 캄보디아의 민낯: '범죄 왕국'으로의 전락


최근 캄보디아는 단순한 개발도상국이 아닌, 중국계 범죄 조직의 자본과 영향력으로 인해 법치와 치안이 붕괴된 '범죄 왕국'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습니다. 특히 항구 도시 시아누크빌과 국경 지대는 사이버 사기, 인신매매, 불법 도박의 중심지로 전락하며 국제적인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이 심각한 실태는 중국계 자본의 유입, 정부의 부패, 그리고 지정학적 요인이 결합된 결과입니다.


070a2a3bb9f970efb155349b674e73cf_1760617153_9047.jpg

1. 중국 자본의 '검은 돈' 유입과 '웬치'의 탄생

캄보디아의 범죄 실태는 중국의 대외 정책과 자국 내 단속 정책의 '풍선 효과'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함께 캄보디아, 특히 시아누크빌에 막대한 중국 자본이 유입되었습니다. 이 자본은 주로 카지노, 호화 호텔, 리조트 건설에 투자되며 도시를 급성장시켰습니다. 그러나 이 투자 자본 중 상당수가 불투명하거나 불법적인 경로(돈세탁 등)를 통해 유입되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중국 정부가 본토 내에서 온라인 도박 및 사이버 범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자, 이들 범죄 조직들은 경찰의 통제가 느슨하고 법치가 약한 캄보디아로 대거 이동했습니다. 이들이 자리 잡은 곳이 바로 '산업 단지' 형태로 위장된 대규모 사기 범죄 기지, 즉 '웬치'입니다. 이 웬치들은 중국계 자본으로 건설된 폐쇄된 복합 단지 안에 콜센터, 숙소, 감금 시설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070a2a3bb9f970efb155349b674e73cf_1760618403_0445.jpg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중국 범죄집단 사무실
 

2. 인신매매와 '사이버 노예'를 통한 범죄의 산업화

웬치를 중심으로 한 캄보디아의 범죄는 단순한 사기를 넘어 인권 유린과 인신매매를 동반하는 잔혹한 형태로 산업화되었습니다. 범죄 조직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한국, 대만, 말레이시아 등 외국인 청년들에게 "고수익 IT 업무"라는 미끼로 취업을 알선합니다. 현지에 도착한 피해자들은 즉시 여권과 휴대전화를 압수당하고, 외부에 알려지지 않은 웬치 내에 감금되어 강제로 범죄에 가담하게 됩니다.


감금된 피해자들은 보이스피싱, 로맨스 스캠, 투자 사기 등 온라인 사기 행위를 강요받습니다. 작업을 거부하거나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고문, 구타, 전기 충격 등의 폭력을 당하고, 심지어 다른 범죄 조직에 수백~수천만 원의 '몸값'을 받고 팔려나가기까지 합니다. 이는 현대판 '사이버 노예' 시스템으로 불리며 국제적인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 및 감금 신고 건수는 최근 1년 사이 10배 이상 폭증했습니다. 이는 한국인들이 범죄 조직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으며, 현지 치안이 한국인의 안전을 전혀 보장하지 못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070a2a3bb9f970efb155349b674e73cf_1760618373_7628.jpg
캄보디아 총리 훈 마넷

3. 정부 부패와 법치 붕괴로 인한 '치외법권' 형성

캄보디아에서 이러한 대규모 조직 범죄가 장기간 활개 칠 수 있는 근본적인 원인은 국가 시스템의 마비에 있습니다. 캄보디아는 국제투명성기구(TI) 부패인식지수에서 최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계 범죄 조직은 막대한 자본을 이용해 현지 경찰, 이민국, 고위 정치인들과 유착하며 사실상의 '치외법권'을 구축했습니다.


한국 경찰이 인신매매 및 사기 범죄 관련 국제 공조를 요청해도, 캄보디아 경찰 당국은 비협조적이거나 응답을 거부하는 사례가 빈번합니다. 이는 범죄 단지에 대한 정부 차원의 묵인이나 비호가 있다는 의혹을 뒷받침합니다.


30년 이상 지속된 훈센 총리 일가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여당(캄보디아 인민당)의 국회 장악은 권력의 분산을 막고 있습니다. 사법부의 독립성이 보장되지 않고 언론이 통제되는 환경은, 부패를 감시하고 척결할 수 있는 내부 자정 능력을 완전히 상실하게 만들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중국의 막대한 투자가 자국 경제를 지탱한다는 이유로, 범죄 조직의 불법 활동에 대해 전략적으로 눈을 감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의 묵인은 결과적으로 국민과 외국인의 인권을 희생시키고 있습니다.

  • 공유하다

    SNS 공유하기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라인 공유
    캄보디아 범죄 조직 실태, 중국 자본 캄보디아 범죄, 시아누크빌 웬치 인신매매, 캄보디아 사이버 노예, 캄보디아 정부 부패 지수, 한국인 캄보디아 납치, 온라인 사기 캄보디아 거점, 캄보디아 치외법권, 동남아 범죄 조직 유입, 캄보디아 경찰 유착
    다음글
    다국어 전문블로그
    NEW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