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 승무원 채용 기준의 혁신적인 변화 5가지 2025년 10월 24일 16:57
페이지 정보
-
- 다음글
- 항공사 객실승무원 하루 일과는 어떨까?
- 25.10.21
본문
항공사 승무원 채용 기준의 혁신적인 변화 5가지
한때 '승무원' 하면 떠오르던 이미지는 특정 키와 외모, 그리고 단정함으로 대표되었습니다. 하지만 팬데믹 이후 항공업계가 대규모 인력 충원에 나서면서, 항공사 승무원 채용 기준에도 혁신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이제 항공사는 외적인 조건보다 '진짜 승무원'의 역량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승무원 취업을 희망하는 지원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항공사 채용 기준의 변화 추이 5가지를 분석하고 성공적인 합격 전략을 제시합니다.

1. 신체 조건 완화 및 '암 리치' 도입 (키 제한 폐지)
과거 승무원 채용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키 제한'은 대부분의 국적 항공사에서 공식적으로 사라졌습니다. 이는 고용에서의 연령 및 신체적 차별을 금지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인권위원회의 권고에 따른 것입니다.
● 변화 내용: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 항공사들은 2015년 이후 신장 제한을 폐지했습니다. 대신 '암 리치(Arm Reach)' 측정 방식이 도입되었습니다.
● 핵심 트렌드: 중요한 것은 신장 자체가 아니라, 기내 선반에 짐을 싣거나 비상 상황 시 장비에 닿을 수 있는 '실질적인 업무 수행 능력'입니다. 공식적인 키 제한은 사라졌지만, 안전 업무를 위한 신체 능력을 여전히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2. '미소' 대신 '체력'과 '상황 대처 능력' 강조
최근 항공사들은 승무원을 '기내 서비스 요원'을 넘어 '안전 요원'이라는 본연의 역할에 집중하여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채용 전형에 실질적인 변화가 생겼습니다.
● 변화 내용: 많은 항공사에서 체력 테스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예: 국민체육진흥공단 인증으로 대체하거나, 이스타항공처럼 체력 시험을 전형에 재도입). 특히 상황 대처 면접의 비중이 커져, 예상치 못한 기내 위기 상황이나 돌발 고객 컴플레인에 얼마나 침착하고 합리적으로 대응하는지를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 핵심 트렌드: 단순히 친절한 미소나 외모를 보는 것이 아니라, 비상 상황에서 승객을 구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강인한 체력과 즉각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호합니다.

3. 스펙의 다양화와 '진짜 어학 능력' 요구
과거 특정 스펙(특정 대학, 토익 고득점 등)에 집중되던 현상이 완화되고, 다양한 전공과 실용적인 어학 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호합니다.
● 변화 내용: 전공 제한이 없어지면서 어문 계열 외에도 IT, 공학,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지원자들이 합격하고 있습니다. 또한, 단순히 토익 점수만 보는 것이 아니라 TOEIC Speaking, OPIc 등 실질적인 영어 구술 능력을 측정하는 전형이 필수가 되었으며, 제2외국어(중국어, 일본어, 유럽어 등) 능력이 있다면 강력한 우대 요소가 됩니다.
● 핵심 트렌드: 글로벌 노선 확대에 따라 외국인 승객의 다양한 니즈를 파악하고 소통할 수 있는 국제적인 감각과 유연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지원자를 찾고 있습니다.
4. 비대면/AI 전형 도입과 '영상 면접' 활용 증가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채용 과정에서도 비대면 방식이 정착되었습니다.
● 변화 내용: 서류 전형 이후 AI 역량 검사나 비대면 영상 면접을 도입하는 항공사가 늘었습니다. 지원자가 사전에 주어진 주제에 맞춰 영상을 촬영해 제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이는 지원자의 표현력, 자신감, 그리고 준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단계가 됩니다.
● 핵심 트렌드: AI 검사는 지원자의 성향과 잠재 역량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며, 항공사들은 정형화된 답변보다 진정성 있는 자신만의 스토리를 영상에 담아내는 지원자를 선호합니다.

5. 연령 제한 철폐와 '숙련된 인재' 선호 현상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와 사회적 연령 차별 금지 분위기에 따라, 국내 항공사들은 승무원 채용 시 연령 상한을 공식적으로 두지 않고 있습니다.
● 변화 내용: 실제로 2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의 합격자가 꾸준히 배출되고 있으며, 늦은 나이에 승무원에 도전하는 지원자들에게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 핵심 트렌드: 나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경력'과 '삶의 성숙함'입니다. 다른 직종에서의 서비스 경험(백화점, 호텔 등)이나 사회 경험을 통해 쌓은 성숙한 문제 해결 능력, 위기 관리 능력 등을 갖춘 숙련된 인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