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잘 모르는 승무원들의 에피소드 2025년 05월 11일 01:28
페이지 정보
-
- 이전글
- 항공권 가격 폭등 이유는 뭘까? (분석글)
- 25.05.11
-
- 다음글
- 하루에 비행기 몇 대가 뜰까? 세계 항공 운항과 이동 인구의 규모
- 25.05.09
본문
우리가 잘 모르는 승무원들의 에피소드
“하늘 위의 직장인”이자 수많은 여행자들의 안전과 편의를 책임지는 기내 승무원들. 이들의 일상은 겉으로는 우아하고 친절하게 보이지만, 그 속에는 우리가 모르는 고충과 놀라운 경험들이 가득합니다. 본 글에서는 현직 국제선 항공사 승무원 3인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일반인들이 알기 어려운 기내 뒷이야기를 자세히 소개합니다.

1. 승무원이 되기까지의 여정
“취업 준비 1년, 최종 면접까지 피말렸죠.”
승무원 A씨는 국내외 항공사 수십 군데를 지원한 끝에 중동계 항공사에 합격했습니다. 이들은 외국어 실력은 기본, 서비스 마인드와 체력까지 테스트받는 고강도 면접을 거칩니다. 특히 면접 시 ‘웃는 얼굴 유지 테스트’, ‘팔 들고 선 자세로 5분 이상 버티기’, ‘비상 상황 시 대처 시뮬레이션’ 등은 상당히 까다롭다고 합니다.
또한, 합격 후에는 3~4개월간의 강도 높은 교육이 기다립니다. 화재 진압 훈련, 응급처치, 수영 및 생존 훈련, 항공 보안 절차까지 마치 군사 훈련 같은 느낌이라는 반응이 많았습니다. 단순히 ‘예쁘게 인사하는 직업’이라는 오해는 이제 그만둬야겠죠?
2. 비행 중 겪은 황당한 승객들
“비즈니스석에 눕더니 잠옷으로 갈아입은 승객도 있어요.”
기내에서 승객 응대 중 발생하는 에피소드는 다양합니다. B씨는 한 중장거리 노선에서 비즈니스석에 탑승한 승객이 화장실에서 실크 잠옷으로 갈아입고 돌아와 당황했던 순간을 떠올렸습니다. “그 자체로 규정 위반은 아니지만, 다른 승객들의 시선을 끌어내 민망함을 주기도 해요.”
또 다른 사례로는 음주 승객이 기내에서 고성을 지르거나, 아이가 울자 옆자리 승객이 부모에게 심하게 항의해 승무원이 중재에 나서야 했던 상황도 있었다고 합니다. “기내는 이동 중인 밀폐 공간이라 사소한 마찰이 곧 갈등으로 번지기 쉬워요. 승무원들은 정중하게 대처하면서도 위기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통제하는 데 집중합니다.”
3. 위기 상황에서의 순발력
“비상착륙 훈련은 매년 필수, 실제 상황도 대비돼 있어요.”
C씨는 작년 한 노선에서 기체 결함으로 인해 비상착륙한 경험이 있습니다. 승무원 전원은 승객에게는 침착하게 안내했지만, 내부에서는 초긴장 상태였다고 말합니다. “그동안 훈련받은 대로 움직였죠. 장비 점검, 출입문 대기, 탈출 절차 반복 훈련이 도움이 됐어요.”
기내에는 화재 진압기, 산소 마스크, 의료 키트, 수갑 등 다양한 비상 장비가 탑재돼 있으며, 그 사용법을 완벽히 숙지해야 합니다. 단순히 ‘서빙하는 직업’이라는 편견은 이쯤에서 버려야겠죠?
4. 승무원의 외모 규정과 압박
많은 승객들이 승무원의 단정한 용모에 주목합니다. 실제로 항공사에 따라 메이크업, 유니폼 착용법, 헤어스타일까지 규정이 세세하게 정해져 있습니다. 일부 중동계 항공사는 머리카락 색상까지 규정하며, 유니폼 체크는 매 비행마다 감독관이 점검하기도 합니다.
“피곤한 장거리 비행 후에도 립스틱이 지워지지 않도록 틴트 3겹 바른 적도 있어요.” 외모만큼이나 자세나 행동, 말투까지도 매뉴얼화된 이중 노동을 감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신적 부담이 크다는 이야기도 덧붙였습니다.
5. 기내 근무의 이면, 몸과 마음의 피로
장거리 비행은 시차 적응과 수면 부족이 심각합니다. “두바이뉴욕, 14시간 비행 후 호텔 도착하면 이미 새벽. 샤워 후 잠들기도 어렵죠.” 승무원들은 대부분 하루 4~5시간의 쪽잠을 취하며 근무를 반복합니다.
또한, 비행 중 식사는 서서 짧게 해결하며, 체내 수분 부족이나 피부 트러블, 소화 문제 등 건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식사를 제대로 못하는 건 기본이에요. 제때 화장실도 못 가요.”
6. 그럼에도 승무원으로 일하는 이유
“매일 다른 하늘, 다른 도시, 다른 사람들… 그게 제겐 모험이자 보람이에요.”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은 ‘이 직업 계속하고 싶으세요?’입니다. B씨는 “힘들지만, 승객의 고맙다는 말 한마디면 피로가 녹는다”고 말합니다. 세계를 여행하며 다양한 문화와 사람을 만나는 일은 승무원만의 특권이기도 합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변화된 여행 수요와 더불어, ‘전문직’으로의 인식이 강화되면서 승무원은 단순히 서비스직이 아닌 ‘항공 안전 전문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알고 보면 더 존경스러운 직업
승무원은 단순한 서비스 제공자가 아니라, 하늘 위에서 수백 명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기내에서 마주하는 미소 뒤에는 수많은 훈련과 감정 노동, 체력적 부담이 숨어 있습니다. 이번 인터뷰를 통해, 승무원이라는 직업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감사의 마음이 생기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