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형 기획사가 K-POP 시스템을 모방하는 방식 2025년 10월 29일 03:22
페이지 정보
-
- 다음글
- 인생 캐릭터를 만난 일본 배우들
- 25.10.28
본문
중국의 대형 기획사가 K-POP 시스템을 모방하는 방식
K-POP 시스템을 모방하는 중국 대형 기획사의 전략
중국 대형 기획사들(주로 엔터테인먼트 그룹이나 IT 대기업 투자 회사)은 K-POP 콘텐츠의 글로벌 성공을 목격한 후, 단순한 스타 영입을 넘어 K-POP의 체계적인 '아이돌 육성 시스템' 자체를 적극적으로 모방하고 있습니다. 이는 'C-POP'의 산업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입니다.

1. 체계적인 '트레이닝 시스템' 모방
중국 기획사들이 K-POP에서 가장 먼저 도입하고 있는 것은 데뷔 전 교육 및 관리 시스템입니다.
● 장기 연습생 시스템 도입
과거 중국은 오디션 프로그램 우승자나 단기 계약자를 즉시 데뷔시키는 경향이 강했으나, 최근에는 수년 동안 엄격한 합숙 생활과 집중 교육을 거치는 한국식 장기 연습생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 '아이돌 공장'식 전문 교육
보컬, 댄스, 외국어(특히 영어, 한국어), 인성 교육, 미디어 대응 훈련 등을 전문적인 커리큘럼에 따라 진행합니다. 한국의 안무가나 트레이너를 고액으로 영입하여 K-POP 스타일의 퍼포먼스와 군무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 유닛 및 팀워크 강조
개인의 스타성만큼이나 그룹으로서의 팀워크와 통일된 이미지를 강조하며, K-POP 그룹 특유의 집단적인 매력을 구현하려 노력합니다.
2. 팬덤 '충성도' 구축과 '소통 플랫폼' 강화
K-POP의 성공 핵심인 강력하고 조직적인 글로벌 팬덤 운영 방식을 모방하고 있습니다.
● '육성형 아이돌' 모델
데뷔 전후로 연습생의 성장 과정을 팬들에게 공개하고, 팬들이 직접 투표나 참여를 통해 아이돌을 '키워낸다'는 '육성형 아이돌'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이는 중국의 대형 오디션 프로그램(예: 창조영, 청춘유니)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 플랫폼 통한 소통 집중
한국 아이돌들이 유료 팬 커뮤니티 플랫폼을 통해 팬들과 직접 소통하는 것처럼, 중국 기획사들은 웨이보(Weibo), 더우인(TikTok) 등 자국 플랫폼을 활용해 비하인드 영상, 라이브 방송 등을 자주 제공하며 팬들의 '접근성'과 '친밀감'을 극대화합니다.
● 굿즈 및 IP 확장
앨범 외에도 고가치의 굿즈를 제작하고, 캐릭터 IP(지적재산권)를 활용하여 팬덤의 **'소비력'**을 극대화하는 전략도 모방하고 있습니다.
3. 글로벌 및 현지화 전략 결합
중국 기획사들은 K-POP의 글로벌 유통 노하우와 자국의 거대한 시장을 결합하는 하이브리드 전략을 구사합니다.
● 현지화된 유닛 데뷔
한국 기획사들이 일본, 중국 등 해외 멤버를 포함하여 현지 유닛을 만드는 것처럼, 중국 기획사들도 자국 내에서 다국적 멤버를 포함하거나, 중국 문화를 강조한 콘셉트를 결합하여 아시아 시장을 공략합니다.
● 다국어 콘텐츠 제작
뮤직비디오, 예능, 인터뷰 등 모든 공식 콘텐츠에 영어, 한국어 등 다국어 자막을 제공하여 글로벌 접근성을 높입니다.
● 웹툰/웹소설 IP 활용
K-POP의 모기업들이 웹툰/웹소설 IP를 활용해 세계관을 확장하듯, 중국 기획사들도 원천 IP를 활용한 세계관 기반의 아이돌 스토리를 구축하여 콘텐츠의 깊이를 더하고 있습니다.
결론: 자본과 시스템의 결합
중국 대형 기획사들의 K-POP 모방은 막대한 자본력과 방대한 인력 및 시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들의 목표는 K-POP의 성공적인 시스템을 학습하여 '중국만의 아이돌'을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K-POP 시스템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동시에, 한국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새로운 경쟁 구도를 만들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