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아시아의 전통과 문화와 특징을 소개합니다!

중국인이 복원한 "중국 고대 전통복 변천사" (그 어디에도 한복은 없었다!) 2025년 10월 06일 01:40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굿모닝아시아
댓글 0건 조회 43회 작성일 25-10-06 01:40

본문

중국인이 복원한 "중국 고대 전통복 변천사" 


중국인들은 한복이 자신들의 문화라고 억지를 부립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중국에서 한민족인 조선족을 제외한 중국 그 어디에서 한복을 입은 모습을 볼 수 없으며, 또한 중국의 역사를 통해 한복이 중국문화와는 전혀 무관함을 스스로 증명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복원된 전통복과 글은 중국인이 직접 작성한 글을 있는 그대로 번역한 것입니다.>


본문내용

최근 다큐멘터리 "중국"을 봤는데, 시, 책, 의례, 음악, 깃털 옷, 구름 같은 옷으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이 모든 것은 오랜 세월의 흔적을 간직하며 오랜 혈통을 이어온 것입니다. 제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옷의 아름다움이었고, 저는 중국의 역사를 펼쳐보며 그들의 복식에 대한 기억을 하나하나 찾아봤습니다.


참고: 웨이보 복식 복원, 왕조복식, 상얀.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중국 복식 복원 그룹"은 수천 년 전의 의상을 조용히 제작하며 우리가 역사를 더욱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주요 왕조별 복식 특징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79594_1634.jpg
춘추전국시대


1. 춘추전국시대 (기원전 221년 - 770년)

깊은 깃이 있는 옷(직선 또는 곡선)은 예나라의 조상인 유미석에게서 유래했습니다. 그들은 상의와 치마를 연결하여 몸을 감쌌습니다. 옷은 따로 재단했지만 위아래를 이어 붙였습니다. 깊은 깃이 있는 옷의 특징은 긴 옷과 넓은 소매인데, 이는 정장에서 가장 두드러집니다.


옷의 특징으로는 크로스 칼라, 오른쪽 옷깃, 끈, 넓은 소매가 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79743_6319.jpg
진나라 시대

2. 진나라 (기원전 207년 - 221년)

진나라 귀족 여성은 검은색 곧은 옷자락의 옷을 입고, 머리를 비뚤게 땋아 묶고, 금으로 된 허리띠 고리로 묶은 넓은 수놓은 허리띠를 두르고, 손에는 옥홀을 들고 있습니다. 진나라 문화는 검은색을 숭배했고, 귀족들의 복식 역시 검은색을 선호했는데, 이는 진나라 함양궁 유적지의 수많은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녀가 착용한 진주가 박힌 금판과 붉은 마노 원반 모양의 구슬 목걸이는 마가원에서 출토된 유물을 바탕으로 복원되었습니다. 목걸이의 조합과 형태는 춘추시대 초 예나라 무덤에서 출토된 옥 장신구처럼 훨씬 더 오래된 시대에서 유래했습니다.


허리띠는 진나라 함양궁 제1궁 유적지에서 출토된 비단 자수 로켓 조각을 바탕으로 복원되었습니다. 그녀가 들고 있는 옥홀은 전국시대와 한나라 시대의 무덤에서도 흔히 발견됩니다. 그것은 의례적인 물건이며 권력의 상징입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0096_3274.jpg
한나라 시대

3. 한나라 (기원전 202년 – 220년)

서한 초기에는 지배계급이 황로사상을 제창하고 무위와 경세 정책을 실시하였으며, 검소하고 간소한 생활을 제창했습니다.


곡주는 깃이 길게 이어지고, 깃이 감긴 옷깃(긴 깃을 삼각형 모양으로 이어 뒤로 통과시켜 앞으로 감은 후 끈으로 묶는 옷)을 말합니다. 또한 고대에는 깊은 의복의 초기 형태로, 춘추전국시대를 거쳐 한나라까지 이어졌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0358_3431.jpg
래퍼라운드 칼라가 없는 것은 곧은 밑단입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0722_9943.jpg
위진남북조 시대

4. 위진남북조 (기원전 220년 – 581년)

위, 진, 남북조 시대의 여성복은 주로 폭이 넓고 앞이 트여 있으며 허리를 조이는 디자인이었습니다. 허리에는 비단 리본으로 묶은 줄무늬 치마를 함께 입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0807_5413.jpg

한나라와 비교했을 때 위나라와 진나라의 복식은 상당히 달랐습니다.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선소"가 추가된 것이 있습니다. "선"은 옷자락에 고정하는 장식을 뜻하는데, 일반적으로 위는 넓고 아래는 뾰족하여 삼각형 모양을 이루고 서로 겹쳐져 있습니다. "선소"는 치마에서 뻗어 나오는 끈을 의미하는데, 이 끈은 걸을 때 옷이 날아다니는 제비처럼 가벼워 보이게 합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1447_4928.jpg
남북조 시대에는 여성용 하의 치마가 아래로 내려오는 얇은 모직물로 만든 이중 치마, 빨간색과 녹색 얇은 모직물 무늬가 들어간 이중 치마, 컵 무늬가 들어간 빨간색 얇은 모직물 치마 등 새로운 스타일로 변형되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1517_3978.jpg
남부 왕조 스커트: 셔츠는 살구색이고, 관자놀이는 까마귀 새끼의 색깔입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1605_3823.jpg
북조의 복식은 남조의 복식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가늘고 늘씬한 몸매’, ‘조복이 물에서 솟아오른다’는 미의식이 유행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1707_3916.jpg

북조 예복: 쌍갑옷은 남성이 입는 겉옷의 한 종류로, 쌍갑옷을 본떠 만들어졌으며, 일반적으로 천과 같은 비금속 재료로 만들어졌습니다. 하카마와 허리에 두른 가죽 띠, 그리고 머리에는 납작한 터번을 착용하여 남북조 시대의 전형적인 예복이 되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1790_1388.jpg

북주(초기 당나라 스타일)의 옷깃에 안감이 있는 비단옷으로, 입거나 늘어뜨려 입을 수 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1894_4581.jpg

5. 수나라·당나라 (기원전581 – 907년)

수나라는 남북조를 계승하고 당나라 이전의 통일 왕조였습니다.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에 유행했던 여성복은 주로 소매가 좁고 허리가 높은 긴 치마(루췬)였으며, 가슴 위로 묶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006_086.jpg

당나라 초기(선조의 유산): 무덕년과 정관년에는 세상이 막 안정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 세대의 유행을 따르는 것 외에도 귀족 복식은 점차 새로운 스타일을 선보이며 번영했던 당나라의 영광스러운 첫 장을 열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107_08.jpg

당나라 초기 여성들이 베일과 모자를 착용한 모습


수나라에서 당나라에 이르기까지 고대 중국 복식은 다양한 스타일, 색상, 무늬로 절정에 달했습니다. 여기에는 반소매라고도 불리는 "반소매"와 짧은 치마에서 발전한 "풀오버" 스타일이 포함되었습니다. 옷자락은 루췬(ruqun)의 안이나 밖 모두에 입을 수 있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186_311.jpg

중당 시대 둔황 기증자 복식


막고굴 231호 석굴 기증자들의 숄은 원래 검은색이 아니라 흰색이거나 옅은 흰색에 가까운 색이었습니다. 기증자들의 얼굴이 어두워진 것은 백색 납 안료(염기성 탄산납)를 사용했음을 시사합니다. 이 백색 안료는 황화물에 노출되면 흑색 황화납으로 변하여 극적인 색 변화를 보입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254_1058.jpg

당나라 전성기 이후 여성의 복식 스타일은 점점 더 자유로워졌습니다. 당나라 후기에는 여성의 소매 폭이 133cm(4피트)가 넘었고, 상체에는 '반소매 치마'와 '허자(끈이 없는 속옷)'를 입어 가슴을 가리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347_7909.jpg
오대 남당 궁중 여성들의 복식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725_9605.jpg
송나라 시대

6. 송나라 (서기 960년 - 1279년)

송나라 초기 여성의 정장은 여전히 ​​오대(五代)의 양식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808_1336.jpg
송나라 중기에는 베이즈(북자)가 여성들의 일반적인 의복이 되었습니다. 베이즈의 스타일은 앞이 트이고 소매가 좁았으며, 종종 열어 입는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휘종 황제 때부터 우아한 아름다움에 대한 취향이 점차 확산되었는데, 특히 복식과 서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러한 미학은 후대 문인들이 묘사한 송나라 미학의 본보기가 되었으며, 중국 미술사에서 독특하고 매혹적인 한 장을 보여줍니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902_4272.jpg
북송 시대 학자의 평상복
봄은 북소리 없이도 찾아온다. 황제는 설날에 봄을 알렸다. 수천 명의 관리들의 관모 위에는 모란, 약모란, 장미꽃이 활짝 피어 있었다. 고요하면서도 장난기 넘치는 분위기였다.

4e24ff8be1eed168950dd3d0e7619961_1759682986_2584.jpg
송나라 중기시대 여성
송나라 중기 여성들은 머리를 땋아 올리고, 은으로 도금한 화조문양이 새겨진 산형 관(館)을 쓰고, 짙은 무늬가 들어간 얇은 저고리와 짙은 무늬가 들어간 치마를 입고, 비단 신발을 신었습니다. 그녀들의 품위와 우아함은 송나라 특유의 우아하고 고귀한 예술적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위의 중국 고대 전통복을 복원한 사진을 보셨듯이, 그 어디에도 한복과 유사한 부분이 전혀 없습니다. 이러한 사실만 보아도 중국인들 스스로가 한복이 중국 문화가 아님을 스스로 증명하고 있습니다.

고대에서 부터 지금까지 남의것을 빼앗으려는 중국인들의 그 정통성 자체는 변함이 없는것 같습니다.



  • 공유하다

    SNS 공유하기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네이버 밴드 공유 라인 공유
    중국 고대 복식 변천사, 중국 왕조별 전통 의상, 심의 직거 곡거, 한나라 위진남북조 복식 특징, 당나라 저고리 치마 유행, 송대 배자 미학, 명나라 광소 장군, 중국 전통 의상 복원, 중국 신중국식 복장, 시대별 중국 여성 복장
    다음글
    다국어 전문블로그
    NEW
    인기글